4 DEC 2009
너무 재미있는 그림 읽기
이 책은 참 재미있다. 책을 읽으면서 킥킥거리면서 계속 읽었다. 그림을 보고 해석하고 느끼는 것은 각자의 재미이겠지만, 진중권은 이 그림을 어떻게 해석하냐를 읽고 배우는 것은 그림 읽기의 안목을 넓혀 주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이 책에서는 주로 르네상스 시기의 12편의 그림을 각각 해석을 하고 있다. 이 시기가 중세에서 근대로 가는 시기이므로 그림에 숨어있는 현대적인 감각을 많이 소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과거의 그림 속에서 마그리트를 발견하고, 폴록이 숨어 있으며, 에셔를 만나기도 한다.
12편의 그림 중 이 책을 읽기 전까지 하나도 친숙한 그림이 없었다. 12편의 그림을 설명하기 위해 소개되는 다른 그림에는 익숙함이 있었지만, 여기에 소개되는 12편의 그림은 미술에 잘 모르는 나에게는 정말 낯선 그림이었다. 하지만 그림을 보고 한번 느끼고, 그림의 소개 글을 보면서 한번 더 생각하고, 글을 다 읽고 시간이 지난 후에 한번 더 보면서 그림을 다시 읽으면서 이 그림은 이런 것이 참 재미있구나를 음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모든 그림들이 재미있지만 몇 개 재미있었던 것은 <우석의 제거> 과 <교수대 위의 까치>였다. 그림을 보면 노골적인 풍자가 느껴지고, 그 시대는 안타깝지만 조롱을 당할 만한 시대적 배경이 있었으며, 화가는 그런 시대를 그림으로 실컷 조롱하는 모습이었다. 한마디로 통쾌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림을 든 빨간 머리 소녀>와 요하네스 굼프의 <자화상>을 보면서 그 당시에서 그림이 아니라, 현대적인 그림을 보는 느낌이었다. 이는 가르침을 이 책에서 잘 설명해 주어서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고야의 그림이 마지막으로 소개되는데, 개인적으로 시간을 내어 <프라도 미술관>을 간 적이 있다. 당연히 고야를 보러 간 것이었다. 고야의 많은 그림을 보고 왔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개>에 대한 기억이 없다. 1미터가 넘는 그림인데. 어쨌던 이 그림을 읽으면서 개만도 못한 인간도 많고, 인간보다 나은 개도 많다고 생각해본다.
진중권은 시사평론가로 위장하여 인기를 끌어, 이 인기를 미학으로 인도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본업인 미학에 대해 강하다는 인상이다. 이번 책도 참 재미있게 잘 읽었다. 그리고 작가가 중앙대를 떠난(?)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정말 고별 강연 포함한 비평론과 해석론을 잘 들었다.
26 JUN 2017
어느 순간부터 진중권 개인에 대해서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책의 작가 진중권에 대해서는 좋아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가 시사 평론가로서는 편협한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보지만, 미학자로서는 아주 훌륭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잘 모르고 첫번째로 읽은 미술 책도 진중권의 책이였으며,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책이 대부분 진중권의 책이다. 진중권의 돈벌이를 막기 위해서 책을 사지 말아야 하나 고민을 했지만, 어쨌던 그의 책들은 대부분 좋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먼 시계공 (리처드 도킨스 저 / 이용철 역) (0) | 2017.06.29 |
---|---|
모던보이 망하거나 죽지 않고 살 수 있겠니 (이지민) (0) | 2017.06.27 |
보노보 찬가 정글자본주의 대한민국에서 인간으로 살아남기 (조국) (0) | 2017.06.23 |
독소 전쟁사 1941~1945 붉은 군대는 어떻게 히틀러를 막았는가 (데이비드 M. 글랜츠, 조너선 M. 하우스 공저 / 권도승, 남창우, 윤시원 공역) (0) | 2017.06.21 |
왼쪽으로, 더 왼쪽으로 당신들의 대한민국 세 번째 이야기 (박노자) (0) | 2017.06.20 |